전체 글
-
23_11_21 JS공부정리개발공부/JavaScript 2023. 11. 21. 23:29
[코딩애플] Part3 -for in 반복문 for (let key in obj) { console.log(key) //키 모두 출력 console.log(obj[key]) //값 모두 출력 } -for in반복문의 특징 1.enumerable한 것만 반복해줌 *Object.getOwnPropertyDescriptor(오브젝트명, 키) : 오브젝트.키의 숨겨진 정보 출력 -사실 오브젝트 안에는 Kim이라는 정보 외에 writable, enumerable,configurable이 같이 저장됨. '데이터 속성(data property)'에 대한 속성 기술자는 네 가지 속성을 갖습니다. value: 속성에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 writable: 변경할 수 있는 속성인지를 나타냅니다. enu..
-
23_11_20 JS공부정리개발공부/JavaScript 2023. 11. 21. 00:31
[코딩애플] Part3 -Promise : 성공/실패를 판정하는 기계 let Promise = new Promise(function(resolve, reject){ resolve(); //이렇게 쓰면 Promise가 성공함 reject(); //이렇게 쓰면 Promise가 실패함 }); //프로미스 = 성공/실패를 판정하는 기계 Promise.then(function() { //1번째 실행 }).then(function() { //2번째 실행 }).catch(function() { //실패할 경우 }).finally(function() { //성공이든 실패든 실행하는 함수 }) let Promise2 = new Promise(function(resolve, reject){ let 연산 = 1+1; res..
-
-
-
23_11_16 JS공부정리개발공부/JavaScript 2023. 11. 16. 22:59
[코딩애플] Part 2 -rest 파라미터 function 함수2(...rest) { //rest 파라미터.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을 배열로 만들겠다는 의미 console.log(rest); } 함수2(1,2,3,4,5); //[1, 2, 3, 4, 5] -argument와 차이점 arguments : 모든 파라미터를 배열에 담아줌 rest parameter : 그 자리에 오는 모든 파라미터를 배열에 담아줌 function 함수2(a,b,...rest) { console.log(rest); } 함수2(1,2,3,4,5); //[3, 4, 5] 1.함수 파라미터 자리에 붙으면 rest 파라미터 2.나머지 경우에는 spread operator rest 파라미터 주의점 1.가장 뒤에 ...rest 를 써야함. ..
-
23_11_15 JS공부정리개발공부/JavaScript 2023. 11. 15. 22:33
[코딩애플] Part 1 1.호이스팅 : 변수선언과 할당이 한줄에 같이 있으면 변수 선언을 맨 윗줄로 옮기는 방식 -JS에선 위의 코드가 아래코드처럼 실행됨 function 함수(){ console.log('hello'); var 이름 = 'Kim'; } function 함수(){ var 이름; //선언이 제일 위로 올라옴 console.log('hello'); 이름 = 'Kim'; } console.log(이름); // undefined (var 이름이 젤 위에 선언되기 때문) var 이름 = 'Kim'; console.log(이름); // "Kim" -변수선언시 여러개를 동시에 선언할 수 있음 var 이름 = 'Kim', 나이 = 29 , 성별 = "남"; -전역변수 : window.변수 window..
-
23_11_13 JS공부정리개발공부/JavaScript 2023. 11. 14. 07:24
[코딩애플] ES6기초모듈 this 1.그냥 쓰거나 일반 함수 안에서 쓰면 {window} *사실 브라우저가 js파일을 해석할때 가장 큰 객체인 window를 생성하고 그안에서 함수와 변수를 담음. 따라서 객체에 담겨있지 않는 this들은 가장 큰 객체인 window를 가리키게 됨. 'use strict'; : 엄격모드 => x = 300 이 안됨. var,let,const써야함 => 일반함수안에서 this는 undefined가 됨 2. 오브젝트 내의 함수안에서 쓰면 그 함수를 가지고 있는 오브젝트를 가리킴. const obj = { data : "kim", 함수 : function() { console.log('안녕') } } console.log(obj.함수()); // { data : "kim", ..